술 한 잔이 주는 메시지는 누군가에게는 굉장히 의미가
ajfoooo
0
2
4시간전
술 한 잔이 주는 메시지는 누군가에게는 굉장히 의미가 남다릅니다. 취하고, 그렇지 않고를 떠나 어떤 이에게는 그 한 잔에 인생과 철학, 행복과 슬픔, 사랑과 증오 등을 담으니 말이죠. 그래서 두 사람의 행복을 축하하는 결혼식에서도, 누군가를 떠나보내는 장례식에서도 술은 빠지지 않습니다. 사진 = 픽사베이 최근 술과 관련한 책 두 권이 세상에 빛을 보고 있는데요. 위스키 전성시대라 부를 만큼 인기를 누리는 위스키에 대한 책과 이제 친숙하리만치 맛도 분위기도 성큼 다가온 사케에 대한 책입니다. 여책저책은 술을 술술 풀어내는 책 두 권을 소개합니다. 위스키, 스틸 영박병진 | 사계절 사진 = 사계절 30여년 간 IBM 등 국내외 기업에서 임원 및 CEO로 일하며 기업들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해 온 사람. ‘위스키, 스틸 영’의 저자 박병진 얘기다. 애주가, 특히 위스키를 애정하는 저자는 사회생활 30여년을 술에 대한 사랑과 함께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저자는 아예 위스키의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세계의 다양한 증류소 취재까지 나섰다. 그가 주목한 것은 그들만의 위스키 제조 기술이 아니라 오랜 역사가 쌓인 ‘이야기’였다. 그래서 증류소를 방문할 때면 로컬 펍에 들러 마을 사람들과 위스키를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즐겼다. 사진 = 사계절 위스키의 역사를 좀 더 들여다보면 수도원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래서 ‘위스키’는 ‘신의 물방울’이라는 뜻을 지닌다. 위스키 증류소의 상당수는 깊은 산속 골짜기에 자리잡고 있다. 세계적으로 명성을 날린 브랜드이지만 깊은 산속에서 구도자처럼 묵묵히 위스키를 만들어간다. 유명세 따위에는 관심조차 두지 않고 소박하게 위스키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흥미로울 수밖에 없다. 코로나19 팬데믹은 위스키를 대중에게 알 2025 강원 강릉단오제의 주제는 ‘스무살, 단오’다. ‘엄마의 스무살에도 아들의 스무살에도 단오가 있었다’는 홍보 문구로 단오제에 대한 각 세대의 정서를 공유한다. 음력 5월5일, 초여름 더위가 찾아오고 모내기가 마무리될 무렵이면 단오(端午)를 맞는다. 초닷새를 뜻하는 단오는 ‘단오물 잡으면 농사는 다 짓는다’는 속담처럼 한해의 풍년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큰 명절이었다. 1년 중 양기가 가장 강하다는 이날엔 마을 수호신에게 제사를 지낸다. 또 수리취떡을 만들어 먹고, 창포물에 머리를 감으며 여름철 찾아올 병마와 액운을 막고자 했다. 설이나 추석조차 간소해진 요즘 단오를 쇤다는 건 드문 일이다. 그런 상황에서 단오를 1년 중 가장 큰 잔치로 치러내는 곳이 있다. 강원 강릉이다. 이곳에선 천년 역사를 지닌 ‘강릉단오제’(5월27일~6월3일)가 열린다. 올해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20주년을 맞아 더욱 의미가 있다. 단오(31일)를 앞두고 축제 준비가 한창인 강릉을 찾았다. 시내 곳곳과 남대천 일원엔 ‘스무살, 단오’가 적힌 플래카드가 봄바람에 나부끼고 있었다. 청소년 관노가면극 전수단체 ‘JOM아라’팀이 강릉단오제를 앞두고 연습에 한창이다. “자∼ 시작! 발 박자를 잘 맞춰서 가세요. 북은 더 세게∼!” 태평소와 꽹과리 소리를 따라 장구·북·징이 흥겨운 가락을 이어간다. 그 뒤로 양반광대·소매각시·시시딱딱이·장자마리가 전통 가면을 쓰고 발맞춰 따라간다. 17일 관노가면극 전수회관에선 청소년 전수단체 ‘JOM아라’가 연습에 열중하고 있었다. 6∼21세 청소년으로 이뤄진 관노가면극 팀이다. 예전엔 이 앳된 청소년들이 아니라 관가에 속한 노비(관노)가 공연했기에 ‘관노가면극’으로 불린다. 관노가면극의 양반광대(왼쪽)와 소매각시 모습. 단원들을 지도하는 김문겸 이수자는 “강릉단오제 전통은 제사를 지내는 제례, 굿을 하는 무격, 민속극인 관노가면극 세 부문으로 구성된다”며 “그중 관노가면극은 신과 인간을 연결하는 민속놀이로 단오제를 찾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소통하는 화합의 장”이라고 설명했다. 관노가면극은 아는 만큼 더 재밌다. 김 이수자는 “오직 춤과 동작으로만 표현하는 무언극이다보니 등장인물과 의미를 모르면 내용 해석이 어려울 수 있다”며 “양반에 대한 풍자가 아닌 남녀간의 사랑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