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불황 장기화 속 소비자 지갑 닫
ajfoooo
0
10
05.25 15:15
경기 불황 장기화 속 소비자 지갑 닫아커피음료점 9만5337개...전년比 743개↓ 저가 커피 판매점이 밀집한 거리의 모습. [사진 연합뉴스][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중장년층이 은퇴 후 주로 창업하는 카페·치킨집·편의점 등이 문을 닫고 있다. 경기불황 장기화에 따른 소비침체의 영향으로 풀이된다.25일 국세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커피음료점의 수는 9만5337개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43개 줄어든 것이다.커피음료점의 수가 1분기 기준으로 감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018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줄곧 오름세를 보였다.연도별로 살펴보면 커피음료점은 2018년 4만5203개에서 이듬해(2019년) 5만3102개로 증가했다.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19가 확산된 2020년 1분기에는 6만2916개까지 늘었으며, 2021년에는 7만개를 돌파했다. 2023년 9만개를 넘어선 이후에도 꾸준히 오름세를 이어가며 지난해(2024년) 9만6080개를 기록했다. 이런 성장세가 올해 들어 꺾인 것이다.커피음료점 외에도 치킨·피자·음식점 등 요식 업계 전반에서 매장 폐업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다.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외식 물가 부담마저 올라 자영업자들의 숨통을 옥죄는 탓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외식 물가는 20.3% 올라 1분기 전체 물가 상승률(13.6%)을 웃돌았다.패스트푸드점(치킨, 피자 등)의 매장 수는 올해 1분기 4만7803개로 전년 동기 대비 180개 줄었다. 같은 기간 한식과 중식음식점의 수는 각각 484개, 286개 감소했다. 호프주점은 1802개나 줄었다. 외식 문화 변화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 편의점은 전년 동기 대비 455개 줄어든 5만310개로 집계됐다.경기 불황 장기화 속 소비자 지갑 닫아커피음료점 9만5337개...전년比 743개↓ 저가 커피 판매점이 밀집한 거리의 모습. [사진 연합뉴스][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중장년층이 은퇴 후 주로 창업하는 카페·치킨집·편의점 등이 문을 닫고 있다. 경기불황 장기화에 따른 소비침체의 영향으로 풀이된다.25일 국세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커피음료점의 수는 9만5337개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43개 줄어든 것이다.커피음료점의 수가 1분기 기준으로 감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018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줄곧 오름세를 보였다.연도별로 살펴보면 커피음료점은 2018년 4만5203개에서 이듬해(2019년) 5만3102개로 증가했다.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19가 확산된 2020년 1분기에는 6만2916개까지 늘었으며, 2021년에는 7만개를 돌파했다. 2023년 9만개를 넘어선 이후에도 꾸준히 오름세를 이어가며 지난해(2024년) 9만6080개를 기록했다. 이런 성장세가 올해 들어 꺾인 것이다.커피음료점 외에도 치킨·피자·음식점 등 요식 업계 전반에서 매장 폐업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다.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외식 물가 부담마저 올라 자영업자들의 숨통을 옥죄는 탓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외식 물가는 20.3% 올라 1분기 전체 물가 상승률(13.6%)을 웃돌았다.패스트푸드점(치킨, 피자 등)의 매장 수는 올해 1분기 4만7803개로 전년 동기 대비 180개 줄었다. 같은 기간 한식과 중식음식점의 수는 각각 484개, 286개 감소했다. 호프주점은 1802개나 줄었다. 외식 문화 변화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 편의점은 전년 동기 대비 455개 줄어든 5만310개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