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
oreo
0
9
11시간전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 연합뉴스 아직까지 지지 후보를 못 정한 유권자, 즉 부동층의 선택은 피날레를 향하는 대선의 막판 변수다. 선거일이 가까워질수록 지지층은 결집하고 끝까지 남은 부동층이 승패를 가르기 마련이라서다. 대선을 12일 앞둔 현 시점에선 한달 전 부동층이던 유권자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로 더 많이 이동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갤럽의 대선 여론조사에 따르면 4월 3주차 전화면접 조사 당시 지지후보가 ‘없음·모름·응답거절’이라고 답한 부동층은 26%였지만, 한달 뒤인 5월 3주차 조사에선 12%로 줄었다. 이 기간 이재명 후보 지지율은 38%에서 51%로 13%포인트 상승했고, 이준석 후보는 2%에서 8%로 6%포인트 올랐다. 김문수 후보 지지율도 7%에서 29%로 22%포인트 올랐다. 단순 수치로는 김 후보의 상승폭이 가장 컸지만 외연확장에는 실패했다는 분석이다. 4월 3주차 조사 때는 국민의힘 최종 후보가 확정되기 전이라 보수 진영 ‘빅4’였던 홍준표(7%)·한덕수(7%)·김문수(7%)·한동훈(6%) 후보로 지지율이 분산된 상태였다. 이재묵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보수 진영 전체 파이로 보면 김 후보 지지율(29%)은 한달 전 빅4의 지지율 총합(27%)에서 불과 2%포인트 늘어난 셈”이라고 말했다. 이 기간 지지율 1% 미만인 김동연·김경수·나경원·안철수(가나다순) 등 ‘기타 후보’의 지지율 합은 7%에서 1%로 줄었다. 즉, 원래 부동층이다가 지지 후보를 결정한 14%, 기타 후보를 지지했다가 선회한 6%가 한달 동안 이재명·김문수·이준석 후보로 갈라진 상황에서 이 후보가 지지율 과반(51%)을 기록한 것이다. 국민의힘 중진 의원은 “한덕수·한동훈·홍준표 후보 지지층을 큰 이탈 없이 흡수하고, 부동층까지 끌어와야 해볼 만했던 김 후보 입장에서 29% 지지율은 뼈아픈 스코어”라고 지적했다. (기사에 인용된 자세한 여론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부동층 응답자가 줄어든 배경에는 조사 당시 상황도 고려해야 한다. 4월 조사 때는 이재명·김문수 후보 확정 전인 다자구도여서 응답자가 선호 정치인을 답하는 자유응답(주관식) 방식이었다. 반면 ‘이재명·김문수·이준석’ 3자 구도가 정해진 뒤 진행된 5월 조사에선 응답방식이 객관식으로 바뀌었고 선택지도 좁아졌다. 여기에 대선도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적잖은 부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 연합뉴스 아직까지 지지 후보를 못 정한 유권자, 즉 부동층의 선택은 피날레를 향하는 대선의 막판 변수다. 선거일이 가까워질수록 지지층은 결집하고 끝까지 남은 부동층이 승패를 가르기 마련이라서다. 대선을 12일 앞둔 현 시점에선 한달 전 부동층이던 유권자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로 더 많이 이동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갤럽의 대선 여론조사에 따르면 4월 3주차 전화면접 조사 당시 지지후보가 ‘없음·모름·응답거절’이라고 답한 부동층은 26%였지만, 한달 뒤인 5월 3주차 조사에선 12%로 줄었다. 이 기간 이재명 후보 지지율은 38%에서 51%로 13%포인트 상승했고, 이준석 후보는 2%에서 8%로 6%포인트 올랐다. 김문수 후보 지지율도 7%에서 29%로 22%포인트 올랐다. 단순 수치로는 김 후보의 상승폭이 가장 컸지만 외연확장에는 실패했다는 분석이다. 4월 3주차 조사 때는 국민의힘 최종 후보가 확정되기 전이라 보수 진영 ‘빅4’였던 홍준표(7%)·한덕수(7%)·김문수(7%)·한동훈(6%) 후보로 지지율이 분산된 상태였다. 이재묵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보수 진영 전체 파이로 보면 김 후보 지지율(29%)은 한달 전 빅4의 지지율 총합(27%)에서 불과 2%포인트 늘어난 셈”이라고 말했다. 이 기간 지지율 1% 미만인 김동연·김경수·나경원·안철수(가나다순) 등 ‘기타 후보’의 지지율 합은 7%에서 1%로 줄었다. 즉, 원래 부동층이다가 지지 후보를 결정한 14%, 기타 후보를 지지했다가 선회한 6%가 한달 동안 이재명·김문수·이준석 후보로 갈라진 상황에서 이 후보가 지지율 과반(51%)을 기록한 것이다. 국민의힘 중진 의원은 “한덕수·한동훈·홍준표 후보 지지층을 큰 이탈 없이 흡수하고, 부동층까지 끌어와야 해볼 만했던 김 후보 입장에서 29% 지지율은 뼈아픈 스코어”라고 지적했다. (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김문